나뭇가지와 솔방울 등 나무재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산수·곤충·식물 등 자연을 아름답게 표현한 작품으로 그 동안 목판공예 등으로 불리어진 것을 산림청에서 산림문화의 새로운 분유로 확신하기 위해서 새롭게 제정한 것입니다.
그 동안 목판공예는 보통 널빤지를 이용하여 나뭇가지를 붙여가며 회화적인 느낌이 들거나 목공예처럼 생활도구 등을 활용하는 측면이 강했으나 이번 생태공예의 경우에는 나뭇결, 썩은 나무의 속, 버섯, 열매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소재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창작 예술 활동을 부여하고 직접 만져보고 다듬으면서 자연의 소중함을 직접 느낄 수 있는 것에서 기존의 것과 전혀 다른 새로운 장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다임광주시청 백운산자연휴양림
구전으로 전해오는 봉황, 여우, 돼지 표현, 그림을 보면서 흥미를 불러오는 틀린 부분 찾아내기
차원수무주국유림관리소
동양적 이미지 부각, 우리 민족 문화 상징. 사군자의 하나인 매화
김복순강원도 산림개발연구원
제철을 만난 나비들이 축제를 열며 흥겨워함, 잠자리 한쌍이 축제에 초청되어 즐거워 하는 모습
정란미영덕국유림관리소
물속에서 살며시 바위 위로 나와 앉은 자라의 모습을 표현
성숙현영양군청 산림축산과
숲가꾸기 부산물을 이용해 하늘로 오르고 싶은 마음을 표현
손혜련남해편백자연휴양림
편백나무를 활용 나무 화분 만들기
최효정방장산자연휴양림
보름달이 밝게 비치는 바닷가 풍경으로 잔잔한 바다와 푸르른 해송이 달빛에 더욱 아름다운 모습을 묘사
홍탁표단양국유림관리소
쪽동백을 이용하여 두루미와 재두루미를 표현
홍탁표단양국유림관리소
소나무에 달려있는 혹을 이용하여 어린 자식들을 바라보고 있는 매를 표현
임미정중부지방산림청
벼타작하는 농민들의 웃음이 가득한 얼굴표정과 일하고 있는 농민들과는 반대로 양반의 늘어진 자세 등을 표현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