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숲은 여름 한낮의 평균 기온을 3~7℃완화시키고, 습도는 9~23% 상승시키는 등 친자연적인 기후조절 기능으로 인간에게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 합니다.
도로변과 생활공간 내 식재를 통하여 소음을 감소시키고 광합성 작용에 의한 산소 발생과 분진흡착 등으로 공기를 정화시킵니다.
느티나무 1그루(엽면적 1,600㎡)는 하루에 8시간 광합성 작용을 할 경우 연간(5월~10월) 이산화탄소 2.5톤을 흡수하고, 1.8톤의 산소를 방출합니다. 이는 성인 7명의 연간 필요한 산소량에 해당합니다.
- 2017. 4월 서울 홍릉숲과 도심에서 부유 및 미세먼지 농도 측정·분석
* 부유먼지(PM10) : 도시평균 60.2㎍/㎥, 홍릉숲 42.4㎍/㎥(▽17.8, 25.6%)
* 미세먼지(PM2.5) : 도시평균 23.5㎍/㎥, 홍릉숲 13.4㎍/㎥(▽10.1, 40.9%)
식물의 표피세포(epldemal cell)의 최외층(outermostlayer)의 구조는 trichome(epidermal hairs), epicuticular wax, cuticular with intracuticular wax, pectine, cell wall, plasma membrane 로 이루어져있다.(Koch et al. 2009) 1:Koch et al. 2009. Trans. R. Soc. A 367:1487-1509 /느티나무의 먼지흡착과 관련한 잎 표면의 특징 Trichone(표페, 굴곡진 표피세포 형태, 융털모양의 왁스층으로 느티나무 가로수 잎 (SEM이미지)2:용두동 고산자로의 느티나무 가로수 잎을 채취한 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통해 관찰한 이미지이다.
아름답게 우거진 도시숲은 시민들에게 심리적 안정 효과는 물론 휴식과 산책을 즐길 수 있는 여유로운 공간입니다.
아름답게 우거진 도시숲의 전경
강릉 소나무 가로수
산림기본법 제18조 (도시지역 산림의 조성·관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시지역의 산림 및 녹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9조의 2 (도시림등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시행 등)에 따라 산림청장은 전국의 도시림ㆍ생활림ㆍ가로수(이하 "도시림등"이라 한다)를 대상으로 도시림등의 조성ㆍ관리를 위한 기본계획(이하 "도시림등기본계획"이라 한다)을 10년마다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0조(도시림등의 조성ㆍ관리)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9조의2에 따라 수립된 도시림등기본계획에 따라 그 관할 구역의 도시림등을 대상으로 도시림등의 조성ㆍ관리를 위한 계획(이하 "도시림등 조성ㆍ관리계획"이라 한다)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구분 | 시작연도 | 단위 | 합계 | 추진실적 |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지자체 합계 | ? | 개소 | 4,016 | 2,976 | 307 | 248 | 215 | 270 | |
면적(ha) | 4,209 | 3,082 | 295 | 275 | 240 | 317 | |||
녹색쌈지숲 (지자체) |
2005 | 개소 | 2,991 | 2,487 | 151 | 127 | 105 | 121 | |
면적(ha) | 2,147 | 1,895 | 58 | 65 | 59 | 70 | |||
산림공원 | 지자체 | 2005 | 개소 | 364 | 252 | 34 | 37 | 23 | 18 |
면적(ha) | 1,366 | 876 | 154 | 148 | 98 | 90 | |||
국유지 | 2003 | 개소 | 89 | 59 | 6 | 13 | 6 | 5 | |
면적(ha) | 934 | 772 | 31 | 62 | 38 | 31 | |||
생활환경숲 (지자체) |
2010 | 개소 | 601 | 225 | 122 | 84 | 87 | 83 | |
면적(ha) | 538 | 243 | 83 | 62 | 83 | 67 | |||
미세먼지 차단숲 (지자체) |
2019 | 개소 | 48 | ? | ? | ? | ? | 48 | |
면적(ha) | 90 | ? | ? | ? | ? | 90 | |||
도시숲 모델 (시범, 지자체) |
2019 | 개소 | 12 | 12 | ? | ? | ? | ? | |
면적(ha) | 68 | 68 | ? | ? | ? | ? | |||
총계 | ? | 개소 | 4,105 | 3,035 | 313 | 261 | 221 | 275 | |
면적(ha) | 5,143 | 3,854 | 326 | 337 | 278 | 348 |
1인당 생활권도시림 면적(㎡/인)은 서울5.4 부산12.1 대구11.3 인천7.6 광주11.8 대전13.1 울산16.6 세종18.5 경기6.6 강원21.2 충북13.8 충남10.7 전북22.8 전남17.8 경북13.6 경남12.3 제주11.9 이고 합계는 9.91, 총도시림면적률(%)은 서울21.90,부산42.60, 대구58.77, 인천27.92,광주37.50,대전50.96, 울산58.40,세종24.07,경기45.71,강원71.57, 충북42.93,충남36.75,전북39.01, 전남49.22 경북46.71,경남41.45, 제주57.83, 합계는 49.11
시 도 | 도시지역 인구 (천명) (A) |
총산림 면적 (ha) |
도시지역 면적 (ha) (B) |
총도시림 면적 (C) |
총도시림 면적률 (%) (D=C/B) |
생활권 도시림 면적 (ha) (E) |
1인당 총도시림 면적 (㎡/인) (F=C/A) |
1인당 생활권 도시림 면적 (㎡/인) (G=E/A) |
---|---|---|---|---|---|---|---|---|
서울 | 9,857 | 15,486 | 60,524 | 14,701 | 24.29 | 4,315 | 14.91 | 4.38 |
부산 | 3,453 | 35,386 | 68,033 | 29,254 | 43.00 | 4,313 | 84.73 | 12.49 |
대구 | 2,385 | 48,705 | 56,516 | 28,413 | 50.28 | 2,748 | 119.11 | 11.52 |
인천 | 2,883 | 39,978 | 50,375 | 13,687 | 27.17 | 2,373 | 47.48 | 8.23 |
광주 | 1,464 | 19,244 | 50,118 | 18,234 | 36.38 | 1,649 | 124.57 | 11.27 |
대전 | 1,502 | 29,928 | 53,946 | 24,742 | 45.86 | 1,571 | 164.70 | 10.46 |
울산 | 1,095 | 68,671 | 55,365 | 32,544 | 58.78 | 1,956 | 297.31 | 17.87 |
세종 | 231 | 25,288 | 4,223 | 1,266 | 29.97 | 559 | 54.90 | 24.22 |
경기 | 12,095 | 520,068 | 416,570 | 135,593 | 32.55 | 9,306 | 112.11 | 7.69 |
강원 | 1,209 | 1,371,643 | 406,398 | 285,289 | 70.20 | 2,385 | 2,359.91 | 19.73 |
충북 | 1,254 | 491,135 | 140,022 | 81,315 | 58.07 | 1,918 | 648.30 | 15.29 |
충남 | 1,470 | 408,040 | 168,399 | 62,804 | 37.30 | 1,677 | 427.13 | 11.40 |
전북 | 1,451 | 443,140 | 139,086 | 43,283 | 31.12 | 2,693 | 298.26 | 18.56 |
전남 | 1,312 | 690,237 | 234,307 | 115,222 | 49.18 | 2,359 | 878.07 | 17.97 |
경북 | 2,028 | 1,337,741 | 345,681 | 161,180 | 46.63 | 3,043 | 794.71 | 15.00 |
경남 | 2,675 | 701,903 | 181,337 | 70,944 | 39.12 | 3,477 | 265.20 | 13.00 |
제주 | 621 | 88,022 | 151,675 | 87,778 | 57.87 | 976 | 1,413.87 | 15.72 |
합계 | 46,985 | 6,334,615 | 2,582,575 | 1,206,249 | 46.71 | 47,318 | 256.73 | 10.07 |
※ i) 1인당 생활권 도시림 목표 : 9.74㎡/인(2017년) * 도시림 기본계획(변경) 2013-2017
ii) 우리나라 도시지역인구(46,985천명)는 전체인구(51,779천명)의 90.7%를 차지
iii) 우리나라 도시지역면적(2,583천ha)은 전체면적(10,036천ha)의 25.7%를 차지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